원예/약용수

초석잠

bthong 2011. 4. 2. 14:23

011-9466-7038

011-9901-7038 

4/2

붉운 가시오가피농장      누에형2kg  30,000   번데기형 6개  택배  4/2  http://www.redgasiogapi.com/  주문

 

4/2

야콘,이피오스세상  http://cafe.naver.com/exbury1 

신품종 야콘 50주  25,000

아피오스 종구특대 800 * 20=16,000

                     대  600 * 20= 12,000    계53,000+3000+3000=60,000   

  농협  207170-56-001531  조광준   010-5168-0206

 

 

 

초석잠 채취작업

 

천마와 함께 뇌혈관계통의 명약으로 생김새가 천마와 비스므리하고 맛은 약간 달큰하며 맛은 아삭하다

 

이녀석 생명력이 좋아서 번식력도 좋고 잘 자랍니다~

이용법은 효소도 담고 잘말려서 차처럼 끓여마시고 또는 짱아찌담아도 아삭한맛을 즐길수있고

 

 

 

초석잠의 효능

 

중국 생약 관계서적에서는 초석잠을 뛰어난 자양강장약으로 유명한 [동충화초]와 모양이 비슷하고 약효도 닮았기 때문에 그 대용품으로 옛부터 이용되어 왔다고 했고, 일본에서도 정월요리에 귀하게 쓰이기도 하고 여러 가지 성인병, 만성병 치료에 귀하게 쓰이고 있다.

초석잠의 주성분은 탄수화물이지만 이 탄수화물은 감자와 같은 전분이 아니라 모두 '올리고당'이며 이 '올리고당'은 장 속의 유익세균을 길러 장의 기능을 좋게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고 장이 깨끗해지면 뇌기능도 정상화된다.

 

 

일본의 야마하라 조오지 의학박사팀이 1990년 "약학잡지"(110권 p932~935)에 발표한 바에 의하면, 초석잠은 '올리고당'에 의한 장정화, 뇌정상화 이상의 뇌활성 물질이 있다고 했다. 쥐에 청산가리를 주사하면 뇌속의 산소부족을 일으켜 곧 죽어버린다. 실험에서 청산가리 주사만 맞은 쥐 그룹은 평균 생존기간이 33.37초였도 이에 비해 초석잠 끓인 액을 1.5g 주사한 쥐 그룹은 73.62초로 약 2배 이상 더 생존했고 초석잠액 3g을 주사한 쥐 그룹은 97.65초로 약 3배나 오래 살았다. 이 실험으로 초석잠에는 뇌세포를 활성화시키는 작용이 있다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실증된 것이다. (야마하라 조오지 , 약학잡지 , 1990년)

  

뇌경색, 노인성치매, 기억력증진

야마하라박사팀의 실험결과, 초석잠에만 유일하게 함유되어 있는 '페닐에타노이드'배당체라는 성분에 의해서 뇌경색, 노인성치매, 기억력증진에 좋다고 발표했다.

 

동맥경화, 간경화, 지방간

초석잠에 함유되어 있는 '페닐에타노이드' '스타키드린' '아르긴산' '콜린' '비타민B4'가 있다. 이와 같은 성분들이 놀라운 생화학 작용을 해 간장에 지방이 지나치게 쌓이지 않게 하고, 콜레스테롤 대상에 관여해 콜레스테롤이 동맥이나 담낭에 지나치게 축적되지 않게 유화해 동맥경화, 간경화,지방간의 형성을 막는다.

특히 콜린은 혈액과 뇌장벽을 뚫고 들어갈 수 있는 희귀물로 뇌세포에 직접 작용해 기억력을 돕는 생화학물질을 만들어 기억력증진과 노인성치매 예방에 좋고 입시나 승진시험을 앞두고 기억력 증진이 필요한 사람은 초석잠을 일상의 부식이나 차나 음료로 이용함에 바람직하다.

 

풍을 쫓고 어혈을 풀 수 있다. 초석잠 뿌리로 만든 식품이나 술은 아주 달고 맛이 있어 이것을 일상의 부식 또는 기호식품, 차 등으로 계속 섭취하기 쉽고 그러는 가운데 각종 풍증과 순환기 장해도 호전 또는 예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초석잠의 효과는 뿌리만이 아니라 그 잎, 줄기 등에도 있다. 이것은 역시 맛이 나쁘지 않아 녹즙 재료로 쓰일 수 있는 것이다. 또 발효해서 효소 식품이나 초주(草酒) 즉 술을 담궈 쓸 수도 있다. 맛이 뿌리만은 못하지만 역시 딴 쓴 풀보다는 좋아 식품화하기 좋다.

 

차로 이용하는 경우는 잘게 썬 것을 무쇠솥에서 향내가 나도록 볶아 두고 매일 3~5그램씩 달여 마신다. 장복하면 두뇌 건강 뿐만 아니라 각종 풍증과 신경통 등에 좋다. 뿐만 아니라 건강 전반이 호전되는 일류 건강차인 동시에 기호차가 될 수 있다.

 

 

 

석잠풀 뿌리를  초석잠이라며  벌레를 닮았다고 식물 동충하초라고 일컫습니다

뿌리 전체가  전분보다는 올리고당으로 구성되어 매끄럽고  몸에 유익한 성분들이 가득하답니다.

중국, 일본에서는  반찬으로  애용되고 있습니다

 
초석잠(草石蠶), 토충초라고도 하며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줄기가 곧게서고 기부에는 포복하는 뿌리가 있으며

그 끝에는 나사형의 골뱅이나 번데기 모양을 하는 덩이줄기가 있다.

줄기는 사각형이며 모서리가 4개 있고 약 30~60센티미터로 자란다.

잎은 대생이고 작은 견과는 흑색이고 개화기는 5~6월이고 결실기는 6~7월이다.

꽃부리는 연한 자홍색으로 사각형 기둥에 두잎 겨드랑이에서 피며

층층히 꽃이 아래층부터 피면서 위층으로 올라간다. 
전세계 약 30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4개의 변종이 자라고 있다.

평안남도와 황해도에서 자라는 우단석잠풀이 있고 석잠풀, 개석잠풀, 털석잠풀이 있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거나 식용한다. 재배하여 가꾸기도 한다.

석잠풀은... 감로자(甘露子), 적로(滴露), 감로아(甘露兒), 지잠(地蠶), 토충초(土蟲草), 지고우초(地?牛草), 지유(地紐), 토용(土踊), 보탑채(寶塔菜), 와아채(蝸兒菜) 등으로 불린다.

습한 곳이나 물가에서 잘 자란다. 봄과 가을에 뿌리 덩이줄기를 캐내어 깨끗하게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전초는 stachydrine, choline, stachyose를 함유하고 있다. 석잠풀과 개석잠풀, 우단석잠풀, 털석잠풀 모두 약용으로 사용한다.

함유하는 stachydrine에는 약간 단맛이 있고 현저한 약리 작용은 없으며 복용 후에는 원형대로 오줌속에 배출된다. 개구리의 수축 심박수를 감소시킨다. 러시아에서 나는 동속 식물 S. hetonicaeflora는 임신 후기와 분만 제 1일 째의 자궁 수축력을 강화하기 때문에 산부인과에서 쓰인다. 또 별종인 S. recta L. 에는 쓸개를 이롭게 하는 작용이 있다. S. sylvatca L. 은 중추 신경 계통에 대해서 진정 작용이 있고 동시에 혈압을 가볍게 하강시키며 심장 수축력을 현저하게 강화시키고 자궁을 흥분시킨다.

 

 초석잠의 일반적 이용법

초석잠의 뿌리는 생것은 쪄서 먹으면 달고 맛이 있다. 또 무우 김치 국물이나 일반 배추김치 국물에 담궈 두면 검게 색이 변하지 않는다. 또 장아찌로 담궈 먹으면 일품이고 꿀에 재어 먹으면 채소로도 정과(正果)로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사시 사철 쓰려면 건조해 보관하는 것이 좋다. 즉 수확한 뿌리를 깨끗이 씻어 찜통 등으로 살짝 쪄서 충분히 말려 냉장고 등에 넣어 보관한다.

가장 일반적인 이용 방법은 매일 3그램 정도의 초석잠 뿌리를 400씨시의 물로 30~40분 약한 불로 달여 국물을 마신다. 건더기도 함께 먹을 수 있다. 생 것을 달일 때는 10~15그램 정도를 1회용으로 한다.

또 말린 뿌리를 고운 분말로 해 물이나 음료수 또는 술에 타서 마실 수 있고 빵이나 만두에 넣어 먹을 수도 있다. 국수를 만들면 일품이 될 것이다.

생 것을 그대로 술에 담구워 마시면 제풍파혈 즉 풍을 쫓고 어혈을 풀 수 있다. 초석잠 뿌리로 만든 식품이나 술은 아주 달고 맛이 있어 이것을 일상의 부식 또는 기호식품, 차 등으로 계속 섭취하기 쉽고 그러는 가운데 각종 풍증과 순환기 장해도 호전 또는 예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초석잠의 효과는 뿌리만이 아니라 그 잎, 줄기 등에도 있다. 이것은 역시 맛이 나쁘지 않아 녹즙 재료로 쓰일 수 있는 것이다. 또 발효해서 효소 식품이나 초주(草酒) 즉 술을 담궈 쓸 수도 있다. 맛이 뿌리만은 못하지만 역시 딴 쓴 풀보다는 좋아 식품화하기 좋다.

차로 이용하는 경우는 잘게 썬 것을 무쇠솥에서 향내가 나도록 볶아 두고 매일 3~5그램씩 달여 마신다. 장복하면 두뇌 건강 뿐만 아니라 각종 풍증과 신경통 등에 좋다. 뿐만 아니라 건강 전반이 호전되는 일류 건강차인 동시에 기호차가 될 수 있다."

 

'원예 > 약용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용수 리스트  (0) 2011.04.02
산나물등등 약초 농원  (0) 2011.04.02
약용수  (0) 2011.04.02
초석잠  (0) 2011.04.02
삼백초 재배법  (0) 2011.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