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한라산 등반 정보

bthong 2007. 5. 1. 16:09


계절별ㆍ등산코스별ㆍ입산시간ㆍ하산시간

동절기(11,12,1,2월) 춘.추절기(3,4,9,10월) 하절기(5,6,7,8월)

입산 :

어리목/영실 ▶ 06:00∼12:00 05:30∼13:00 05:00∼14:00
성판악/관음사▶ 06:00∼09:00 05:30∼09:30 05:00∼10:00
어승생악▶ 06:00∼16:00 05:30∼16:30 05:00∼17:00
윗세오름 대피소▶ 14:00 15:00 16:00

하산 :

용진각 대피소 ▶ 15:00 15:30 16:00
진달래밭대피소 ▶ 15:00 15:30 16:00
정 상 ▶ 13:30 14:00 14:30

 

 

등산로 개방 :

어리목 코스 : 어리목 → 윗세오름 대피소 (4.7km, 편도 2시간)

어승생악 : 어리목 → 어승생악 정상 (1.3km, 편도 30분)

영 실 코스 : 영 실 → 윗세오름 대피소 (3.7km, 편도 1시간 30분)

성판악 코스 : 성판악 → 동능 정상 (9.6km, 편도 4시간 30분)

관음사 코스 : 관음사 → 동능 정상 (8.7km, 편도 5시간)

 

 

교통안내 :

-어리목 등산로-

1100도로(99번 도로)이용, 제주 시외버스 터미널 ↔중문 시외버스 터미널

제주시 출발 시간표(중문 출발)

◈ 4∼10월 : 첫차 06:30 (08:15), 막차 16:50 (18:35), 80분 간격
◈ 11∼3월 : 첫차 07:50 (09:35), 막차 15:50 (17:35), 80분 간격
◈ 제주시 → 어리목 입구, 소요시간 35분, 요금 1,900원
◈ 중 문 → 어리목 입구, 소요시간 45분, 요금 2,700원


 

 

-영실 등산로-

1100도로(99번 도로), 제주 시외버스 터미널 ↔중문 시외버스 터미널


제주시 출발 시간표 (중문 출발)

4∼10월 : 첫차 06:30 (08:15), 막차 16:50 (18:35), 80분 간격
11∼3월 : 첫차 07:50 (09:35), 막차 15:50 (17:35), 80분 간격
제주시 → 영실 매표소 입구, 소요시간 55분, 요금 3,100원
중 문 → 영실 매표소 입구, 소요시간 25분, 요금 1,500원


 

 

-성판악 등산로-

5·16도로(11번 도로), 제주 시외버스 터미널 ↔서귀포 시외버스 터미널

제주시 출발 시간표 (서귀포 출발)

3∼10월 : 첫차 06:00 , 막차 21:30 , 12, 15분 간격
11∼2월 : 첫차 06:30 , 막차 21:30 , 12, 15분 간격
제 주 시 → 성판악, 소요시간 36분, 요금 1,600원
서귀포시 → 성판악, 소요시간 38분, 요금 1,700원


 

 

 

-관음사 등산로(정기 노선버스 없음)-

5·16도로 산천단 검문소 부근 제1산록도로 입구에서 관음사 야영장까지 승용차 기준 5분,도보로 45분 소요. 1100도로의 천왕사 부근 제1산록도로 입구에서 승용차 기준 5분, 도보로 50분 소요

이용요금 : 무료

주차요금

승용차 1,500원 / 승합차 2,500원 / 버스 3,000원



한라산 등반, 높이에 따른 다양한 식생대 변화 확인, 한라산 자생식물 이름맞추기, 사진찍기

 
 
전체지도보기  
 
 

사방이 바다로 둘러싸인 환상의 섬 제주도,

이 섬의 한 가운데 1,950m의 높이로 우뚝 솟은 한라산(漢拏山)이 있다.

능히 은하수를 잡아 당길 만큼 높은 산이란 뜻을 가진 이 산은 옛부터 신선들이 산다고 해서 영주산이라 불리기도 했고 금강산, 지리산과 더불어 우리나라 삼신산의 하나로 여겨져 왔다.
또 다양한 식생분포를 이루어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은 동·식물의 보고(寶庫)로서 1966년 10월 천연기념물 제182호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한편 신생대 4기의 젊은 화산섬인 제주도의 중심부에 위치한 한라산은

지금으로부터 2만5천년 전까지 화산분화 활동을 하였으며,

한라산 주변에는 368개의 기생 화산인 ‘오름’들이 분포되어 있어 특이한 경관을 창출하고 있다.

한라산이 품고있는 비경으로는 눈덮힌 백록담,

왕관능의 위엄, 계곡 깊숙히 숨겨진 폭포들, 설문대 할망과 오백장군의 전설이 깃든 영실기암

등이 있으며 1970년 3월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한라산은 북태평양의 고도 (孤島)에 솟아있는 지리적 요인과 해발고도에 따른 영향으로 온대에서 한대 기후대까지 식물의 수직분포를 보이고 있고,1,800여종의 식물과 4,000여종의 동물(곤충류 3,300여종)이 서식하는 생태계의 보고라 할 수 있다.
한라산은 화산분출로 생성된 산이어서 육지 산과는 다른 독특한 지형을 가지고 있다.

한반도의 대부분의 산들이 능선과 골짜기로 이루어진 반면

한라산은 '양변의 기울기가 다소 완만한 삼각형 모양의 단면(순상화산)을 이룬다.

이 경사면을 따라 4개의 등산로가 있는데,

 

동쪽의 성판악 코스와 서쪽의 영실, 어리목 코스, 북쪽의 관음사 코스가 있다.

남쪽의 돈내코 코스는 자연휴식년 구간으로 지정되어 현재는 통제되고 있다.
한라산은 등산로가 10km 이내로 거리가 짧아, 정상까지 당일 등·하산이 가능하다.

또한 등산로가 잘 정비되어 있어 길을 잃거나 조난 당할 우려는 적다.

그러나 기상변화가 심하고 바람이 세어서, 장비 없이 무작정 산행에 나섰다가는 낭패를 보는 경우가 많다. 관음사 지구 야영장을 제외하고 모든 등산로에서는 취사와 야영이 금지 돼 있다.
한라산 정상 동능이 개방되어서 성판악, 관음사 코스로 정상까지 등산 할 수 있다.

어리목과 영실 코스로는 1700 고지 윗세오름 대피소까지만 등산 할 수 다.
1988년부터 한라산에서는 '자기쓰레기 되가져오기 운동'을 전개하여서

등산객들도 깨끗한 한라산 만들기에 동참하고 있다.

그리고 당일 등산을 원칙으로 하기 때문에 계절 별로 일몰시간을 기준으로 입산통제가 이루어지므로

미리입산 시간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백록담  
   
 
 
영구춘화  
   
 
 
한라산국립공원  
   
 
 
겨울의 한라산  
   
 
 
관음사 코스의 삼각봉  
   
 
 
백록담 정상이 바로 보이는 영..  
   
 
 
눈덮인 한라산  
   
 
 
화려한 눈꽃 사이로  
   
 
 
눈덮인 윗세오름 대피소  
   
 
 
안개 낀 성판악 코스  
   
 
 
삼순이가 올랐던 성판악 코스의..  
   
 
 
진분홍 철쭉이 예쁜 봄날의 영..  
   
 
 
한라산 눈꽃  
   
 
 
한라산 눈꽃

 

 

 

 

 

 

 

 

'제주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물자연휴양림  (0) 2007.05.01
외돌개  (0) 2007.05.01
서귀포 자연 휴양림  (0) 2007.05.01
비자림  (0) 2007.05.01
“제주 화산 폭발은 끝나지 않았다”  (0) 2007.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