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예/약용수

삼벡초

bthong 2011. 4. 2. 12:24

 

 

 

삼백초. 

제주도의 습지에서 주로 자라는 삼백초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높이 50~100cm 이다. 꽃은 6~8월에 잎과 마주나는 꽃대에 자잘한 흰색 꽃이 수상꽃차례로 달린다. 매는 둥글고 종자가 각 실에 1개씩 들어 있다. 한약재로 쓰인다.

    

 

 

 

 

 

 

 

 

 

 

검색=>  삼백초(Lizard Tail)  / 삼백초  /  삼백초

 

삼백초과(三白草科 Saurur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뿌리줄기는 흰색으로 옆으로 기면서 자라며 키는 1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끝은 뾰족하나 잎의 기부는 편평하다. 잎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잎 앞면은 연한 녹색이고 뒷면은 흰색이나 줄기 위쪽에 달리는 2~3장의 잎은 앞뒤 모두 흰색이다. 황백색의 꽃은 6~8월에 잎겨드랑이에서 수상(穗牀)꽃차례로 무리져 핀다. 꽃잎은 없고, 6개의 수술과 3~5개의 심피(홑암술)로 이루어져 있으며 열매는 둥그렇게 익는다. 주로 물가에서 자라며 한국에는 제주도에서만 자라고 있다. 중국에서는 식물 전체를 해독제로 사용하거나 각기병 치료에 사용하며 일본에서는 이뇨제로 쓰고 있다. 줄기 위쪽에 달리는 2~3장의 잎이 하얗기 때문에 삼백초라고 부른다. 울릉도에서 자라는 약모밀을 삼백초라고 부르기도 한다.
 

 

 

삼백초

과명 Saururaceae (삼백초과) 속명 Saururus (삼백초속)

전체학명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Adansonia 10: 71 (1871)

추천명 삼백초
이명 외국명 Chinese Lizardtail/삼백초

잎은 호생하며 길이 5-15cm, 폭 3-8mm로서 긴 난상 타원형이고 5-7맥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밑부분은 심장상 이저이고 표면은 연한 녹색, 뒷면은 연한 백색이지만 윗부분의 2-3개의 잎은 표면이 백색이다. 엽병은 길이 1-5cm로서 밑부분이 다소 넓어져서 원줄기를 안는다.열매는 둥글고 각 실에 대개 1개의 종자가 들어있다.꽃은 양성으로서 6-8월에 피며 백색이고 수상화서는 잎과 대생하며 길이 10-15cm로서 꼬불꼬불한 털이 있고 밑으로 처지다가 곧추선다. 소포는 난상 원형이며 지름 1.5mm정도이고 소화경은 길이 2-3mm이며 꽃잎은 없다. 수술은 6-7개이고 심피는 3-5개로서 털이 없다.

잎과 꽃이 희다.
여기에 뿌리까지 희기에 삼백초다.

*삼백초 분양 및 파종안내

삼백초 는 씨앗이 없고 뿌리로 분양및 파종합니다.

파종 시기는 3월 초순부터 4월달 까지 파종하시면

가을에 수확을 하실수 있습니다.

파종및 재배방법은 전화로 상담하시면 성의껏 답변

드리겠습니다.

 

*삼백초 파종방법

1. 그림과 같이 골을 타고 삼백초 종근을 뿌린다. 1.그림과 같이 흙을 덮어준다.
2. 면적을 추가로 심을 경우 15cm~20cm의 간격을 두고
   그림과 같이 다시 종근을 뿌린다.
 
3. 다섯골을 심고 오른쪽 그림과 같이 흙을 덮고 배수를 낸다
 

http://eoseongcho.co.kr/ 대풍농산   051-311-5351   011-593 - 5351    2kg 40000+3000=43,000  4/2 송금

 

 

삼백초

우리나라가 지정한 멸종위기식물 제177호인 삼백초는 뿌리, 잎 꽃이 희다고 하여 이름붙인 토종자생식물로 항암과 성인병에 좋다고 알려지면서 멸종의 수난을 겪었다. 그랬던 삼백초가 천신만고 끝에 단 몇 그루가 발견되어 다시 세상에 태어나게 되었다.


삼백초는 높이가 30~90cm이고, 뿌리에 털이 났으며 줄기는 털이 없고 곧다. 잎은 홀잎이며 모양은 끝이 뽀족한 계란 모양이다. 꽃은 14cm정도로 이삭꼴의 흰색으로 7~8월에 피며 열매는 8~9월에 맺는다고 한다.


삼백초는 변비와 숙변에 효과가 탁월하며, 해독 및 이뇨작용이 매우 뛰어나다. 또한 고혈압, 동맥경화 치료와 예방에 효과가 크며, 냉대하, 자궁염, 생리불순 등 갖가지 부인병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이밖에도 항암작용이 있으며, 악성여드름, 만성피로, 습진, 피부병, 화상 등에 삼백초를 먹거나 짓찧어 붙이는 방법으로 나았다는 기록이 있다.


<이렇게 드세요>


일상차나 숭늉처름 마실 경우 삼백초 건초 10g정도를 씻어서 물2리터 정도를 붓고 달여서 수시로 먹으면 좋다. 달이는 양과 물은 기호에 따라 증감해도 된다.
약차로 이용시 물3리터에 어성초 건초 20g, 삼백초 건초 10g을 넣어 진하게 끓여 마시면 더욱 좋다.

'원예 > 약용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석잠  (0) 2011.04.02
삼백초 재배법  (0) 2011.04.02
제주피타야(용과)를 집에서 키우자   (0) 2010.09.26
양하(襄荷,양애):  (0) 2010.07.11
맥문동(麥門冬)  (0) 2010.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