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보조금 2300만원"… 세계 전기車, 제주로 몰려

bthong 2013. 12. 10. 22:50

환경부 보조금 1500만원, 제주선 보조금 800만원 지급… 다른 나라보다 1.5~3배 많아
BMW 'i3' 내년 5월 제주 판매, 닛산도 내년 초 '리프' 선보여
테슬라도 제주도와 진출 접촉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이 전기차를 들고 제주도로 몰려들고 있다. BMW가 첫 전기차 전용 모델인 'i3'를 내년 5월 제주도에서 판매하기로 한 데 이어 닛산도 내년 초 전기차 '리프(Leaf)'를 제주도에 출시할 예정이다.

한국닛산은 9일 "닛산의 글로벌 전기차 판매담당 빌리 헤이스(Hayes) 부사장 등 본사 임원 7명이 10일 제주도로 날아와 충전 인프라와 지원제도 등을 확인하고 제주특별자치도청 관계자들과 리프 출시 계획 등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이 제주도와 창원시 등 지자체가 지급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전기차 보조금을 보고 국내로 몰려오고 있다. 왼쪽은 BMW가 내년 5월 제주도에서 판매를 시작하는 전기차‘i3’, 오른쪽은 내년 초 판매 일정을 타진 중인 닛산의 전기차‘리프’ 사진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이 제주도와 창원시 등 지자체가 지급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전기차 보조금을 보고 국내로 몰려오고 있다. 왼쪽은 BMW가 내년 5월 제주도에서 판매를 시작하는 전기차‘i3’, 오른쪽은 내년 초 판매 일정을 타진 중인 닛산의 전기차‘리프’. /BMW·닛산 제공

실리콘밸리 태생의 고급 전기차 업체인 테슬라도 내년 상반기 중 한국 진출 여부를 결정짓기 위해 우리 정부 관계자들을 접촉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다른 전기차 업체 디트로이트 일렉트릭은 국내에서 딜러 모집을 검토하고 있다.

제주 2300만원…보조금 세계 최고수준

BMW에 이어 닛산까지 한국, 특히 제주도에 진출하려는 것은 이 지역의 전기차 보조금이 세계 최고 수준이기 때문이다. 현재 환경부는 고속전기차 한 대당 보조금 1500만원을 지급하고 있고, 제주도는 자체 예산으로 보조금 800만원을 추가로 얹어주고 있다. 따라서 제주에서 전기차를 사면 보조금 2300만원을 받을 수 있다. 우리보다 전기차 판매량이 많은 미국과 일본도 전기차 지원금이 각각 최대 1만달러(약 1053만원)와 139만엔(약 1420만원)인 것을 감안하면 2배에 가깝다. 현재 국내에서 판매 중인 전기차인 기아차 레이와 한국GM의 스파크 EV, 르노삼성의 SM3 Z.E.의 공장 출고 가격은 3500만~4500만원이다. 이 차량을 제주도에서 구입할 경우 1200만~2200만원만 있으면 살 수 있는 셈이다. 제주특별자치도 스마트그리드과 김홍두 과장은 "전기차 선도 지역인 캘리포니아주(州) 등과 경쟁하기 위해서 최고 수준의 보조금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제주도는 올해 일반인을 대상으로 160대 분량의 보조금을 마련해 공모했는데 472명이 몰려 경쟁률이 3대1에 달했다. 내년에는 예산을 더 늘려 500여대에 줄 보조금을 마련했다고 한다.

주요국의 전기차 보조금·세제 혜택 그래프

제주도 외에도 환경부가 선정한 '10대 전기차 선도 도시'에 속한 창원시도 경상남도와 함께 600만원의 자체 보조금을 마련하는 등 지자체들이 보조금 증액 경쟁을 벌이고 있다.

해외 업체들 각축장 될 듯

BMW는 지난 9월 제주도와 전기차 보급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는 등 주요 업체 중에 가장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유럽에서 최근 3만4950유로(약 5045만원)에 출시한 i3는 국내 도입 가격도 5000만원 안팎으로 전망된다. 보조금을 감안하면 제주도에선 3000만원대에 구입할 수 있는 것이다.

2010년 전기차 전용 모델 리프를 출시한 이래 현재까지 단일 전기차 모델로는 가장 많은 8만5000여대를 판매한 닛산도 움직이고 있다. 닛산은 올 초 미국에서 리프 가격을 18% 인하한 2만8800달러(약 3035만원)에 내놨다. 현지 연방정부 보조금(7500달러)에 캘리포니아주 특별 세제 혜택(2500달러)까지 감안하면 1만8800달러(약 1980만원)에 살 수 있는 셈인데, 국내에서도 보조금을 감안하면 2000만원대에 판매돼 국산 전기차 업체들과 경쟁할 것으로 보인다.

환경부가 내년에 배정한 총 800대 분량의 보조금 예산(254억원·충전 인프라 설치 비용 포함)과 지자체 보조금은 국적을 가리지 않고 모든 업체가 수혜 대상이다. 따라서 해외 업체들의 점유율이 50%를 넘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한 수입차 업체 관계자는 "전기차를 사줄 지방자치단체의 예산과 대수가 확정돼 있는 데다 보조금 규모도 커서 해외 업체들로선 한국을 매력적인 시장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