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감상

엘콘도 파사 ( El Condor Pasa ) (철새는 날아가고)

bthong 2008. 9. 27. 08:44

 

 영혼의 소리라고 하는 케나(우리의 피리에 해당)의 소리는 심금을 울리는
소리 입니다...
남녀의 아주 슬픈 전설이 살아있는 께나의 소리...
스페인 정복자들이 안데스의 땅과 하늘, 그들의 음악을 빼앗아 갈려고 했지만
영혼의 소리 음악은 빼앗아 가지 못했습니다...
 




 

 

 

                          엘콘도 파사 ( El Condor Pasa )  (철새는 날아가고)

                                     페루 민요 / El Condor Pasa

 

콘도르(condor) " 라는 말은 아메리카 대륙 원주민인 잉카인들 사이에서는
 " 어떤 것에도 얽매이지 않는 자유 "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남미의 큰 독수리 ' 콘도르 ' 는  잉카인들에 의해  신성시 되어온 안데스 산맥의
바위산에 서식하는 지구상에 가장 큰 맹금류의 텃새(permanent resident) 입니다.

잉카인들은 그들의 영웅이 죽으면 콘도르로 부활한다고 믿고 있기에 콘도르는
잉카인들에게 있어서 삶과 종교적인 상징성을 가진 새이기도 합니다.

 

 




 < 콘도르(condor)>  독수리과로 안데스 산맥 바위에 서식

 세게적인 남성듀엣 사이먼과 가펑클(Simon& Garfunkel)이 1970년대 노래한
'엘 콘도 파사(El Condor Pasa)'  제목을 풀이하면 El은 라틴어로 영어의 The를
의미하고 Condor는 남미산 큰 독수리의 일종이며 pasa는 영어의 pass와 같은
뜻이랍니다.

 

 

 

EL Condor Pasa ( 엘 콘도 파사 : The Condor Pass )

                    

               - Simon& Garfunkel -

 

I''d rather be a sparrow than a snail
Yes I would, if I could, I surely would
I''d rather be a hammer than a nail
Yes I would, if I only could, I surely would


Away, I''d rather sail away
Like a swan that''s here and gone
A man gets tied up to the ground
He gives the world its saddest sound
Its saddest sound


I''d rather be a forest than a street
Yes I would, if I could, I surely would
I''d rather feel the earth beneath my feet
Yes I would, if I only could, I surely would

길거리가 되기보다는 숲이 되고 싶어요
맞아요, 할 수만 있다면 정말 그렇게 되고 싶어요

이 세상을 냐 발밑에 두고 싶어요
할 수만 있다면 하고 싶어요
정말 그렇게 하고 싶어요

 




<안데스 산맥 계곡 >
계곡의 깊이가 무려 3,369m로 미국의 그랜드 캐넌보다 2배 이상 깊다




 '엘 콘도 파사(El Condor Pasa)' 의 원곡은스페인의 200년 폭정에 분노하여
페루에서 1780년에 일어났던 대규모 농민반란의 중심인물인 호세 가브리엘
콘도르칸키(Jose Gabriel Condorcanqui 1738-1781)의 이야기를 테마로,
클래식 음악 작곡가인 다니엘 알로미아스 로블레스(Daniel Alomias Robles)가
1913년에 작곡한 오페레타 '콘도르칸키' 의 테마 음악으로 마추피추를떠날 수
밖에 없었던 잉카인들의 슬픔과 콘도르칸키의 처지를 빗대어 표현한 노래입니다.

농민혁명을 일으킨 콘도르칸키는 1년후인 1781년 체포되어 처형 당하지만,
스페인 억압으로부터 라틴 아메리카의 해방을 상징하는 존재로서,
영웅이 죽으면 콘도르가 된다는 그들의 전설처럼 그도 역시 죽어서 콘도르가
되었다고 잉카인의 후예는 믿고 있습니다.







페루남부 꼴까강 따라 형성된 깊이가 3000미터가 넘는 계곡의 아름다움도
좋지만 무엇보다 안데스 콘도라의 서식지가 이 계곡의 바위산이다





< 안데스 콘도르 >
펼친 날개의 길이가 무려 3미터가 넘는 지구상 큰 맹금류로서 멸종위기에
있지만, 잉카인들에게는 신적인 존재로 그들의 영웅이 죽으면 콘도르로 다시
태어 난다고 믿고 있다



 '엘 콘도 파사(El Condor Pasa)'  노래의 원래 의미를 되새겨 보면,
사이먼과 가펑클(Simon& Garfunkel) 의 노랫말 가사는 " 철새는 떠나고 " 로  
콘도르를 철새로 해석하여 계절이 바뀜을 자연의 이치를 받아들여 보금자리를
떠나야 하는 이별의 슬픔을 노래 하였으나, 안데스 산맥의 사계절 텃새 콘도르가
살고 있던 곳을 떠난다는 것은  보금자리를 빼앗겨 기약 없이 쫓겨 난다는 것을
의미하는 상징성은 고향을 떠나야만 처지의 아픔과 한을 담고 있기에 그 해석은  
사뭇 다르 다고 할수 있겠지요

 

       

페루 민요 / El Condor Pasa (팬 플릇 연주)



"El Condor Pasa, 콘돌의 비상" 은 잉카족의 마지막 추장이었던 "Tupac Amaru"를 애도하는 안데스 지역의 전래민요입니다. 이 음악을 통해 안데스 잉카인들은 하늘을 마음대로 날아다니는 콘돌처럼 자신들의 꿈이 이루어 지기를 기원하는 듯 합니다.


이 곡은 Simon and Garfunkel 이 불러 더욱 유명해 졌지만, 곡 자체는 18세기 부터 내려오는 페루 민속 음악을 1913 년 페루 작곡자 다이얼 알로미아 노블레스가 악보에 옮겼다고 합니다. 본래는 가사가 없는데 인디언들이 자신들의 말을 붙인 것으로 추정되며, 케츄아어(안데스 인디언어)로 옮긴 것으로 이것을 스페인어로 옮기고 다시 영어로 옮기면...



Oh majestic condor of the andes  
take me to my home up in the andes, condor condor 
I want to go back to my dearest place and want to live 
with my inca brothers that"s what I missed the most, condor condor 
Wait for me in inca at the main plaza so that together we can walk up 
to machupicchu and huaynapicchu.

안데스의 하늘을 마음대로 날아 다니는 콘도르야. 
나를 안데스로 데려다 주렴, 콘도르야 콘도르야.
내가 가장 사랑하는 고향으로 돌아가 
내 잉카형제들과 그곳에서 살고 싶단다. 
그게 지금 내가 가장 간절히 원하는 거란다. 
콘도르야 콘도르야. 
형제들아 날 꾸스코의 중앙광장에서 기다려 주렴. 
그래서 우리가 다시 만날 때 
마츄비츄도 와이나픽츄도 같이 오르자꾸나  
 
El Condor pasa / 여러 악기들의 버젼 

그 맹조(猛鳥)를 본 적은 한 번도 없었습니다. 
그러나 일단 하늘로 날아오르면 
하루 정도는 땅으로 내려앉지 않고 비행할 수 있으며 
기류를 타고 날면서 간혹 잠도 잔다는 그 하늘새의 이야기를 
소상하게 들었던 적은 있었습니다. 
그 새가 페루의 인디오들에게는
스페인 정복자들에 대한 복수를 상징한다고 합니다. 
바로 콘도르라는 독수리입니다.
작곡가인 Daniel Alomia Robles가
1897년 117살의 잉카 노인으로부터 옛 잉카인들이 연주했던 
"임노알솔"즉 "태양에 바치는 노래" 와 
"엘콘도르 파사" 원곡을 채록합니다
빼앗긴 나라를 되찾으려다 
교수대의 이슬로 사라진 순국용사 
투팍 아마루의 전설이 담긴 El condor pasa.. 
영문학 출신인 로스 잉카스(LOS INCAS)라는 그룹의 
우나 라모스(UNA RAMOS)에 의해 레코드로 출반되 
전세계적으로 성공을 거둬 잉카 음악이라는
음악의 한 장르로써 월드 뮤직으로 자리잡게 됩니다. 

콘도르야 콘도르야.-
나를 안데스로 데려다 주렴 (El condor pasa..)
안데스의 하늘을  마음대로 날아 다니는  콘도르야. 
나를 안데스로 데려다 주렴, 콘도르 야 
내 고향으로 돌아가  내 잉카 형제들과   
그곳에서  살고 싶단다. 
그게 지금 내가 제일  원하는 거란다. 
콘도르야 콘도르야. 
형제들아  날 꾸스코의 중앙 광장에서 기다려 주렴. 
그래서  우리가 다시  만날때   
마츄삐츄도 우아이나 삐츄도 같이 오르게~~~
 
 
슬픈 역사를 가진 Indio 들의 음악..
이들의 음악은 1960년대에 프랑스 Pari를 중심으로 
재 평가가 이루어졌고,
Indio들로 구성된 Group들인 
'Los Incas', 'Savia Andina', 'Los Calchakis' 등이 
Major Record 사와 계약을 맺고 활발한 활동을 하게 됩니다.
국내에서는 프랑스 Group 'Los Chacos'가 Bach의 곡을 편곡한 
'Polonaise' 로 유명합니다.
(80년대 Radio에서 사연 소개 할때 주로 나왔던 잔잔한 곡...)
Group들은 달라도 이들이 사용하는 악기는
-게나 : 갈대로 만든 소박한 피리
-시쿠 : 대나무로 만든 팬플루트 처럼 생긴 피리
-챠랑고 : 아르마지오라는 작은 동물의 등 껍질을 울림 
몸통으로 만든 기타로 구성이 비슷합니다.
 

1.El Condor Pasa / 얼후 연주

2.El Condor pasa /팬플릇

3.El Condor pasa /Una Ramos

4.El Condor pasa / Los Incas
 

5.El Condor Pasa / 기타협연
Parlez Moi D'amour

6.El Condor Pasa (원곡) /SISAY

7.El Condor Pasa / 이생강(대금)임동창(피아노)


8.El Condor Pasa / Inti lllimami
9.El Condor pasa / Simon & Garfunkel

 10.El Condor Pasa / Paul Mauriat

'음악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날의 로망스 - 베토벤의 로망스 제2번 F장조  (0) 2008.10.01
Congratulation-Cliff Richard 클리프리챠드  (0) 2008.09.27
Rain / Jose Feliciano  (0) 2008.09.27
남과 여 / 폴모리아 악단  (0) 2008.09.27
EYES ON ME  (0) 2008.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