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창고

호박벌(서양땅뒤영벌)

bthong 2011. 2. 11. 21:54

 

호박벌(서양땅뒤영벌) 현재위치 : 홈 > 사업소개 >호박벌(서양땅뒤영벌)
화분매개곤충

화분매개곤충이란 꽃가루를 매개하여 농작물 결실에 도움을 주는 유용한 곤충류를 화분매개곤충 혹은 수분곤충이라 한다. 저희 예천군산업곤충연구소에서는 유용곤충의 하나인 화분매개곤충 즉, 서양땅뒤영벌(서양호박벌)과 머리뿔가위벌을 연중 계대 사육하여 대량 증식 체계를 갖추어 경제적 측면에서 수입대체를 통한 공급가격 인하와 인공수분대체를 통한 생산비 절감, 그리고 고품질·저공해 농산물 생산을 통한 농가소득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비경제적 측면에서 세계적 기술보유로 농업발전에 기여하며 친환경 농산물 생산의 이미지 상승효과에 이바지 하고 있습니다. 호박벌(서양땅뒤영벌) 이용 장점
봉군이용장점 주요내용
노동력절감 약제 수정작업 대체(1군당 200~600평 수분활동가능)
결실률 확보 기형과 감소 및 생산성 증대
품질 경쟁력 과실 무게, 크기, 종자수, 당도, 산도증가
수분 식별성 꿀벌 기피하는 긴 통꽃 수분양호, 꽃에 이빨흔적 남음 
생물 다양성 작물과 유용곤충 공존, 맹독성 농약회피 
친환경 농업 고품질 저공해 과채류 생산기여 및 지역상품 브랜드화 

땅뒤영벌 투입에 의한 수분대상작물 (Koppert, Biobest사 자료참조, 2002)
구 분 대 상 작 물 장 소
시설과채 토마토, 딸기, 고추, 피망, 멜론, 참외, 수박,
가지, 키위, 호박 온실,비닐하우스
노지과수 사과, 배, 복숭아, 알몬드, 자두, 체리 과원 및 시설 
종자채종 고추씨, 배추씨, 무씨, 홍당무씨, 양파씨 노지 및 시설 

시설작물 수분효과
작 물 명 과실중량(%)  종자수(%)  결실률(%) 
방울토마토  24.47%  43.37%  14.80% 
고 추  27.23%  47.82%  -
참 깨  10.62%  51.36%  28.20% 
목 화  7.66%  8.72%  33.65% 

① 토마토 수분효과

시설재배에서 방울토마토의 수분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는 이미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연구를 통해 잘 알려져 있다(Abak et al ., 1995; Pulumbo et al ., 1996).

수분효과를 조사할 경우, 시설재배조건이나 기후환경, 기술수준, 봉군의 활력도 및 개체군의 크기 등과 같은 제반요인이 다양한 변수로 작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본 연구진이 실험한 방울토마토의 수분효과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땅뒤 영벌을 이용했을 때는 과실 종자수의 증가가 가장 현저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과실당 종자 수는 대조구에 비해 43.37%가 증가되었음을 알 수가 있다.

또한, 과실의 무게는 땅뒤영벌을 이용했을 때가 대조구에 비해 24.4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 으며, 결실률은 14.80%로 증가하였다. 당도와 과실의 크기도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서 수 분효과가 확실하였다

(그림 1).

그림 1. 땅뒤영벌이 수정한 방울토마토의 결실효과 비교.
② 고추 수분효과

일반적으로 고추의 꽃은 풍매화이고 자가수분도 잘 이루어져서 결실률 확보에는 별다른 문제 가 없이 재배되는 작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Meisels 및 Chiasson(1997)에 의한 조사 결 과, 시설고추에도 뒤영벌류의 화분매개활동이 수확량과 품질에 향상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본 연구진에 의한 시설고추의 수분효과 실험에서는 과실의 종자수가 대조구에 비해 47.82%의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그리고 과실무게는 27.23%로 증가하였고, 길이와 폭이 다 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시설고추에서도 수분효과가 확인되었다.

(그림 2)

③ 참깨 수분효과

참깨는 풍매화이며 자가수분도 잘 이루어지는 작물로 알려졌으나, 뒤영벌류에 의한 수분효과는 지금까지 알려진 바 없으며 본 연구진에 의한 수분효과 실험이 최초이다. 참깨의 개화기에 땅뒤 영벌을 투입한 결과, 과실의 종자수가 대조구에 비해 51.36%의 매우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또한, 종자의 무게는 10.62%가, 그리고 결실률은 28.2%가 각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3)

그림 3. 참깨꽃에서 수분활동중인 땅뒤영벌.
④ 목화 수분효과

목화는 생육기에 고온을 요구하는 풍매화로서, 꿀벌이나 다른 화분매개곤충의 도움이 없어도 결 실이 잘되는 작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기후조건에서 목화의 수분효과를 실험한 결과, 과 실의 종자수는 대조구에 비해 8.72%가, 그리고 과실의 무게가 7.66%로 각각 증가하였다. 특 히, 결실률의 확보가 33.65%의 현저한 증가를 나타냈다. 따라서 목화재배가 농산물의 주요생산품목으로 차지하고 있는 파키스탄 등과 같은 다른 나라에 도 뒤영벌류의 이용을 권장할만하며, 장차 국제기술협력을 통해 생산성 증대를 가져다 줄 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4)

그림 4. 목화꽃에서 수분활동중인 땅뒤영벌.
⑤ 그 외 작물의 호박벌(서양땅뒤영벌) 수정 모습


참외꽃에 수분활동중인 땅뒤영벌
토마토꽃에 수분활동중인 땅뒤영벌
복숭아꽃에 수분활동중인 땅뒤영벌
자두꽃에 수분활동중인 땅뒤영벌
배꽃에 수분활동중인 땅뒤영벌
사과꽃에 수분활동중인 땅뒤영벌 작물별 사용면적
 토마토 고추  수박ㆍ참외
완숙 방울
사용면적  300-600평
(1000-2000㎡) 200- 400평
(700-1400㎡)  400-450평
(1350 - 1500㎡)  250-300평
(800-1000㎡) 
설치높이  0.5~1m  0.5~1m  0.5~1m 
작물재식 밀도 및 환경에 따라 면적의 감가 있음. 

호박벌(서양땅뒤영벌) 사용 설명서
하우스내 방사할때는 다음과 같은 순서를 필히 지켜주십시오


1. 하우스의 천창과 측창을 모두 닫아놓은 상태에서 설치하여 1-2시간 동안 그대로 안정을 시킨 후 벌의 출입구를 열면 됩니다.

2. 직사광선을 피하고 벌통이 과열되지 않도록 적당한 차광막이나 스티로폼으로 벌통 위에 설치합니다.

3. 무릎정도의 높이로 받침대를 수평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설치하고 그 위에 벌통을 놓습니다.

4. 그림과 같이 놓으셨으면 벌통 밑은 스트로폼이나 종이박스를 놓아 땅에서 올라오는 습기를 막고 보온덮개는 벌통이 아닌 노란색 컨테이너박스를 덮어 벌통이 환기가 될 수 있도록 하십시오.

5. 근처에 다른 꽃이 많을 경우 하우스 밖에서 수정활동 을 할 수도 있으므로 방충망을 쳐야합니다.

6. 방사중 벌통 가까이 계시거나 혹은 벌통을 건드리시면 쏘 일수 있으므로 가급적이면 주간에는 벌통을 만지지 않도록 해주십시오.


<호박벌(서양땅뒤영벌) 수정가능온도>
<30℃이상의 고온시 설치요령>농약 살포시 주의사항

1. 농약살포 전날 밤에 출입구를 막고 벌통을 밖에 꺼내 놓은후 다음날 살포해주십시오. 살포시간은 오후에 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대다수의 살균제는 1-2일 동안 벌통을 하우스 내에서 빼놓으시면 됩니다. 살충제의 경우는 3-7일 이상 빼놓으셔야 하므로 주의하십시오.

농약사용지침서
불가 농약 [구시치온, 강타자] [노몰트, 뉴바크론] [디프록스, 더스반, 다이메크론, 다이틀, 디밀린, 다이빈, 다트, 더부러, 댕댕, 다캡, 디크론] [립록, 록숀, 란레이트, 리전트, 램페이지] [메리트, 멕모쳐, 메소밀액제, 미프랑, 모니타, 메수롤, 마릭스] [바이린, 바미드 & 피레스, 비페스린 & 가벤다, 불독] [스타더, 새로탄, 섹큐어, 신파마치온, 싱싱, 스미사이딘, 신나라, 수프라사이드, 스미치온, 세레크론] [이피엔유제, 엘산, 오트란, 왕스타, 역시나, 인쎄가, 야무진, 아스캡, 아태릭, 이미담, 올커니, 이조드 에카록스 유제] [적시타, 지오릭스유제, 주렁] [테프루벤주론 & 비티수화제, 타스타, 테프루벤주론유제, 트레본, 타게트, 톱탄] [파수꾼, 파라이온유제, 프리미스드, 페이오프, 피레스] [힘센, 함성, 호스타치온, 한지게, 호리치온, 호리마트, 후루바 & 테프루벤주론] [카스케이드, 코니도, 끝내기]
6일 이상
(빼놓을 것) [너미더] [디디브이피유제 & 훈증제, 데시스] [로닥스, 란백] [미칼] [알리에테, 알리둥, 아토피아, 아타브론, 아푸칸] [조아진] [포세칠알 & 이프로 수화제, 페로팔]
3일 이상
(빼놓을 것) [고추탄] [노고단, 닛쏘란, 닛쏘풀] [돌풍] [리도참, 래피드] [마이코, 만만세] [바이코에이] [샘나, 새미나, 신바람, 사란, 소다미] [온마을] [티디온, 토큐유제 & 수화제, 크로펜테진 & 펜푸탄] [펜코나졸 & 타로닐수화제, 피리모] [한버네, 해마지] [깨끄탄]
1일 이상
(빼놓을 것) [금비라, 굳타임] [놀란, 누스타] [다이센엠-45, 다코닐, 델란, 다이렉스, 다스린, 두루다, 다모아, 델란티] [로브티, 리도밀엠지, 리도밀큐, 리도밀, 로브랄] [마니나, 마이캇트, 마브릭, 모레스탄] [바리톤, 바이코, 바이코씨, 벤레이트, 비바칼, 바이오비트, 보배단, 비티사이드, 바이피단] [시스텐엠, 슈리사이드, 샤프롤, 수화유황, 스미렉스, 시스텐, 신기원] [오소싸이드, 아싸, 약손] [파아람, 프린트박스] [헥사코나졸, 훼나리, 홀펫, 한판] [카라센, 켈센] [트리달엠, 톱신엠, 톱네이트엠, 톱신페스트, 트리후민] [타로닐, 마이탄] [쓸마내, 씨트라존] [안트라콜, 유파렌, 아시원, 우리만, 왕손]

일반적 사용 농약 (토마토)

온실가루이 메소밀, 데시스, DDVP, 수프라사이드, 디밀린 모레스탄, 모스피란 + 신기루 
잎굴파리 올스타(아바멕틴), 부메랑, 버티맥, 솔빛 
청벌레 아타브론, 트레본, 솔빛 (3일 간격으로 3회) 
잿빛 곰팡이 깨끄탄, 스미렉스, 유파렌, 벨쿠트 
잎 곰팡이 안트라콜, 다이센엠-45, 산로판, 더마니, 신기원 과립(수), 산로판 에이 수화제 
흰가루병 트리후민 (흐린날에 살포) 
역병 삼인산 소다 + 쎈박타 골드, 수호신, 포룸 수산화 칼륨(KOH) + 아인산(H2PO3) 
뿌리근 썩음병 리도밀동 + 벤레이트 (관주함) 

* 살충제로 코니도, 리전트, 렘페이지 등은 농약 잔류기간이 장기간 이므로 하우스 내에서는 사용하지 않도록 하십시오.

* 일반적으로 벌을 빼놓은 후 살충제는 6 ~ 7 일, 균제는 2일 정도 경과후 투입하십시오.


* 일반적으로 농가에서 사용하는 방제이므로 경우에 따라서 수정벌 및 작물에 다소 영향을 받을 수 있음.

표 농약사용 지침서 자료출처 대지산업

자주하는 질문
 1. 벌은 호박벌(서양땅뒤영벌)입니까..
이 벌은 땅뒤영벌입니다. 호박벌(서양땅뒤영벌)은 땅뒤영벌 속에 속하는 벌이며 이 벌은 유럽산 호박벌(서양땅뒤영벌)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 통안에 일벌이 얼마나 있나요
저희들 통에는 평균 70-90마리의 일벌이 있으며 알과 유충이 다수 있습니다. 관리를 잘하실 경우 일벌의 총수가 350마리까지 증가가 됩니다.
 3. 계속해서 통을 사용할 수 있나요??
이 벌은 양봉꿀벌과는 다른 생태를 나타나며 호박벌(서양땅뒤영벌)은 단년생 벌입니다. 여왕벌의 생존일수는 약 3개월 정도이며 그러므로 최대3개월 보통 한달 보름에서 두달까지 사용이 가능합니다.(사육실 사육기간 30-45 + 농가 사용기간 45-60 = 90)
 4. 애벌레를 물어내는데 괜찮은가요 ?
예.. 물론 애벌레를 많이 물어내면 좋지 않습니다. 하지만 먹이가 없을 경우 벌은 애벌레를 먼저 죽여 냅니다.
애벌레를 죽이는 원인으로는
1. 먹이부족
2. 시설내 환기불량으로 인한 과습
3. 시설내의 저온이 경과 했을 때 (평균 벌통의 온도가 12℃ 이하)
4. 벌통의 상태가 좋지 않을 때 애벌레를 죽이므로 관리를 조금만 부주의하게 하여도 애벌레를 잡아내니 관리에 유의하십시오(애벌레가 물어낼 경우는 2일에 한번씩 차 숟가락으로 한 숟가락화분을 벌통에 넣어준다)
 5. 한달이 지났는데 벌 중 일부가 하우스 천장과 혹은 골조 작물의 잎 위에 앉자만 있습니다.
그 벌들은 일벌이 아니고 수벌입니다. 그러므로 신경 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6. 벌통 교체 시기는 언제쯤 하는 것이 좋은가요?
예 벌통의 교체시기를 전문적으로 알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맑은 날 오전 8:00-10:30 사이에 어느 시간대이든 20분을 벌통 앞에 앉아 벌의 소문출입수를 세어보면 알 수 있습니다. 만약 20 - 15회 이상이면 이상이 없으며, 15-10회 보통 10회 미만인 경우에는 벌통의 교체가 의심이 가므로 상담자와 상담을 마친 후 결정하시면 됩니다. 또한 1주당 개화한 꽃의 화방수의 70%이상 수정시는 정상, 70-60% 보통, 50%이하일경우도 역시 벌통 교체가 의심이 됩니다만 이는 농가 포장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7.동봉한 꽃가루는 언제쯤 주어야 합니까?
동봉한 꽃가루는 통상적으로 2-3일에 한번씩 넣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꽃가루 양은 차숟가락을 1-2 스푼을 넘으면 않되며 간혹 통에서 애벌레를 꺼집어 내는 경우에는 1-2일에 한번씩 일주일간 넣은 후 다시 2-3일에 1-2회씩 넣으시면 됩니다.
구입안내
시설재배 농가 : 개화하기 2개월 전 연구소 예약 신청
노지재배(사과, 배, 복숭아 등) 농가 : 개화하기 3개월 전 연구소 예약 신청
판매시기 : 년 중

 

 

 

(출처 : 예천곤충연구소 http://www.ycinsect.go.kr)

'임시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프 스윙이메지  (0) 2011.11.30
아내  (0) 2011.04.26
곤충 사업계획  (0) 2011.02.11
주요 유용곤충 현황  (0) 2011.02.11
곤충으로 농가소득 높인다 [서울신문] 2007-05-10 2:36  (0) 2011.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