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PB(자산관리사) 동반자 시대!
모대기업 과장인 나종범씨(가명, 35)에게 2006년은 ‘다시는 기억하고 싶지 않는 1년’이다. 나씨는 지난 한 해 동안 무려 1억원이 넘는 손실을 입었다. 2005년 증시 활황으로 짭짤한 수익을 얻었던 그는 지난해 그동안 유지했던 3:2:2 법칙을 깨고 ‘몰빵식’ 주식투자에 나섰다가 화를 당했다.
4년 전 결혼해 아직 자녀가 없는 나씨는 결혼 이후 월 소득 중 30%는 생활비와 주택담보대출, 20%는 정기예금, 20%는 주식 및 금융상품에 투자하기로 계획을 세웠다. 45세가 되기 전에 40평형대 집을 장만해 놓는 것이 그의 목표다.
하지만 2005년 주식투자로 4000만원가량을 벌면서 그의 재무인생은 180도 변했다. 쥐꼬리만한 이자보다 주식이 더 크게 보였던 것. 그는 지난해 그동안 모았던 정기적금을 깨고 1억5000만원을 주식과 주식형 펀드에 6:4로 투자했다. 그러나 주식시장 침체로 주가가 떨어지면서 그의 꿈은 산산이 무너졌다. 욕심내고 투자한 주식은 원금의 절반 이상을 까먹었고, 펀드 역시 10%의 손실을 기록했다.
재테크 독불장군은 없어
‘악몽 같은 1년’을 경험한 나씨는 다시는 ‘나 홀로 자산관리’는 하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1억원이 넘는 큰돈을 잃었지만 그보다 더 큰 것을 잃어버릴 뻔했기 때문이다. 바로 그의 인생 목표다. 나씨는 “자신감만 가지고 덤볐다가 당한 격이죠. 주가가 떨어질 때는 직장생활은 물론 가정생활도 힘들었어요. 혼자서 모든 것을 할 수 있다는 생각은 이제 버렸습니다.”라고 당시를 회상했다.
나씨의 실패를 단순히 ‘욕심이 과했던 것’이라 쉽게 판단할 수 있지만 사실 그의 투자 내역을 보면 그렇지 않다. 책이나 경제신문을 가지고 공부하며 나름대로 투자 철칙을 세웠던 그는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주식과 펀드에 투자했다. 주식은 대형주와 중소형주에, 주식형 펀드도 성장형과 혼합형에 각각 분산 투자했던 것.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과가 나빴던 가장 큰 이유는 주식시장이 급변했고, 직장생활로 바쁜 와중에도 혼자서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만일 나씨가 처음 주가 하락으로 손실을 기록했을 때 손절매만 했더라도 그나마 손실 폭을 줄일 수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직장생활로 바빴던 나씨는 몇 차례 매매 타이밍을 놓치면서 손실을 키웠다. 또 펀드투자도 마찬가지다. 2006년 모든 주식형 펀드들이 손실을 기록한 것은 아니다. 나씨가 발품을 팔아 더 많은 상품을 살펴보고, 전문가 상담을 통해 잘만 골랐다면 수익을 낼 수 있었다.
민주영 미래에셋투자연구소 선임연구원은 “나씨는 그나마 나름대로 포트폴리오를 짜고 안전장치를 두려고 했지만 시장에 대한 판단이 틀렸고, 손실을 줄이려는 노력을 하지 못해 큰 손실을 입은 케이스”라며 “아무런 계획 없이 투자에 나섰다가 낭패를 보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말했다.
1억5000만원에서 5000만원가량만 건진 나씨는 최근 주거래 은행을 만들고 정기적금과 금융상품에 5000만원을 예치해 PB 고객으로 등록했다. 인생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보다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재무 설계를 하기 위해서다.
나씨의 경우처럼 나 홀로 자산관리족들은 더 이상 투자로 성공하기 힘든 시대가 됐다. 금융환경이 급변하면서 개인 혼자서 모든 정보를 분석하고 판단하는 것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단적인 예로 2006년 한 해에만 새롭게 출시된 펀드가 800개(공모+사모펀드)에 달한다. 여기에 은행, 보험사 등에서 출시되는 상품을 합칠 경우 최소 1000개가 넘는다. ELS 등 단기상품이나 특판상품을 포함하면 매년 새롭게 등장하는 상품 숫자는 셀 수도 없을 정도로 많다. 따라서 개인은 물론 금융 전문가조차도 옥석을 가리기 힘들다.
주식시장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말 현재 1696개(코스피+코스닥)에 달하는 기업이 상장돼 있고 매년 20여 개의 기업들이 신규로 상장된다. 또 일반 주식과 함께 ELW, ETF 등 파생상품과 인덱스상품, 단기상품을 합칠 경우 거래 종목은 2000개를 훌쩍 넘는다.
김명환 대우증권 상품개발팀 과장은 “주식시장에서 새롭게 등장하는 상품만 해도 상품 개발자들도 알 수 없을 만큼 많다”며 “과거와 달리 금융시장의 (상품 개발)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있어 상품 개발자 역시 힘들 정도”라고 전했다.
상품 수와 함께 금융상품이 갈수록 복잡해지는 것도 개인의 재테크를 어렵게 하고 있다. 2004년부터 국내에도 선물, 옵션 등 파생상품 시장이 본격적으로 열리면서 일반인은 이해하기 힘들고, 리스크도 큰 상품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속칭 ‘타짜들의 상품’이라 불리는 ELW가 대표적인 예다.
저금리와 고령화로 저축에서 투자로 재테크의 개념이 바뀌었지만 이처럼 금융환경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개인 혼자서 효과적인 재테크를 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
명노욱 현대증권 강동지점장은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개인 투자자들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그 수가 감소하고 있다”며 “금융시장 변화에 발맞춰 이제는 PB를 통해 재테크 계획을 세워야 할 때”라고 전했다.
힘들다고 재테크를 저버릴 순 없다. 로또 대박이 터지거나, 길고 긴 인생을 포기하지 않는 한 재테크는 꼭 필요한 삶의 일부가 돼 버렸다. 그렇다면 어떻게 재테크에 임해야 할까? 보통 사람은 병이 나면 의사를 찾고, 어려운 일에 처하면 주변 지인들에게 도움을 받는다. 재테크도 마찬가지다. 고민을 해결하고 처방을 받으려면 해당 전문가를 찾아 나서면 된다. 바로 금융기관의 PB가 그들이다. 성공적인 재테크를 위해서는 전문가로부터 충분한 상담과 컨설팅을 받는 게 필수적인데, PB 고객이 되면 이런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다. PB들은 단순히 투자뿐만 아니라 자산을 안전하게 관리하고 인생 주기에 맞게 자산을 설계해줄 수 있는 프로들이다.
자산관리는 PB에게 맡겨라
많은 사람들이 PB라고 하면 부자들의 전유물로 여기곤 한다. 사실 정통적인 PB은 부자를 타깃으로 성장해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금융기관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부자 서비스로만 인식되던 PB가 중산층으로 확산되고 있다. 금융기관들은 PB 고객 기준을 수억~수십억원에서 수천만원으로 크게 낮추고 있다. 자산가뿐만 아니라 ‘예비 부자’를 고객으로 확보해 미래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다.
가장 먼저 PB 문턱을 낮춘 것은 우리은행이다. 우리은행은 2004년 6월 PB 고객 기준을 예금평잔 3000만원으로 대폭 낮췄다. 우리은행에 이어 많은 금융기관들도 현재 PB 고객 기준을 3000만~5000만원으로 낮춘 상태다. 증권사의 경우 예탁자산 1000만원 이상이면 PB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부자만의 전유물로 생각하고 근접하지 못했던 고객이라면 지금이라도 자신의 자산을 체크해 PB 서비스를 받아 볼 수 있다. 또 여러 곳에 분산 예치한 고객이라면 자산을 한 곳에 집중해 해당 금융기관의 PB 서비스를 받는 것도 방법이다.
유점승 우리은행 PB 사업단 부장은 “이제는 부자만을 위한 PB 서비스 시대는 지났다”며 “어느 정도 자산과 신용도만 있다면 충분히 PB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시대가 됐다”고 말했다.
금융기관의 PB 고객이 되면 '대접'이 확 달라진다. 일반 고객과는 달리 전문적이고 풍부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PB 서비스 내용은 보유 자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우선 남들과 달리 신속하고 편안하게 금융거래를 할 수 있다. PB 고객이 되면 자산관리 서비스뿐 아니라 금전적인 혜택도 적지 않다. 금융거래에 뒤따르는 각종 수수료를 할인 또는 면제받을 수 있다. 예금과 대출에서도 금리 우대를 받을 수 있다. 또 급전이 필요할 경우에는 일반 고객보다 쉽게 무보증 신용대출도 받을 수 있다. 부가적인 혜택도 많다. 재테크에 필수적인 세무, 법률, 부동산투자 등에 관해 전문가들로부터 무료 상담을 받을 수 있고 심지어 금융종합과세 등 세무 신고 업무도 PB가 대신해준다.
'경제 >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빅4 증권사 추천 2007년 최고 유망 종목 (0) | 2007.05.01 |
---|---|
성공한 부자 점포의 7가지 훈수 (0) | 2007.05.01 |
자본시장형 부자가 뜬다 (0) | 2007.05.01 |
올해 달라진 부동산 세금 (0) | 2007.05.01 |
장기 투자 유망지 … 단기 투자는 금물 (0) | 2007.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