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약초 : 어성초



![]() ![]() 1. 어성초란( 일명 약모밀) ▶ 삼백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여러해살이 풀인 민간약초다. ▶ 다양한 정유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생선 비린내 같은 독특한 냄새가 나기 때문에 어성초라고 부른다. ▶ 어성초는 뿌리, 잎, 줄기, 꽃 전체 약으로 사용한다. ※ 한방차, 생즙, 발효즙, 발효주, 미용제 등 다용도로 활용한다. ▶ 세계 최장수국인 일본에서는 민간약초요법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고 함 ※ 일본은 어성초비누, 유액, 연고 등이 미용제로 시판 되고 있음 | ||||||||||||||||||||||||||||||||||||
![]() | ||||||||||||||||||||||||||||||||||||
2. 어성초의 유형성분
| ||||||||||||||||||||||||||||||||||||
![]() | ||||||||||||||||||||||||||||||||||||
3. 어성초의 식품 분석표
| ||||||||||||||||||||||||||||||||||||
▶ 어성초의 잎 줄기에는 12.8% 라는 많은 양의 단백질이 함유되어 현미보다 많고 백미의 2배에 달한다. ▶ 미네랄은 백미의 약 25배, 현미의 약 10배 ▶ 칼슘은 백미의 약 20배, 현미의 2배 많으며 ▶ 철분도 월등하다. |
2. 민간약초 : 삼백초 ![]() ![]() | ||||||||||||||||||||
![]() ![]() 1.삼백초는 ▶ 요즈음 한창 부흥이 일고 있는 다년생 초본의 민간약초다. ▶ 초여름에 줄기끝 꽃밑에 있는 잎 2-3개가 하얗게 변하는 특징이 있다. ▶ 삼백초는 뿌리, 줄기, 꽃 모두 약으로 사용한다. ▶ 같은 삼백초과의 어성초와 동일한 것이라고 하는 사람이 있는데 이는 잘못 알고 있는 것이다. 어성초는 비린내가 나는데 반해 삼백초는 그렇지 않다. ▶ 약리작용이 놀랍도록 다양하고 뛰어나며 노폐물을 잘 배출시키는데 있다. ※ 오차물처럼 우려내 마시며 요리할 때 발효주, 미용제 등 다용도로 활용함. |
||||||||||||||||||||
![]() | ||||||||||||||||||||
2. 삼백초의 유형성분
▶ 전초에는 정유가 들어있고 줄기에는 탄닌, 잎에는 루틴, 뿌리에는 각종 아미노산과 유기산, 당류 및 수용성 탄닌이 주성분을 이룬다. ▶ 기타 어성초와 중복되는 성분은 나열 안 함. | ||||||||||||||||||||
![]() |
3. 선학초( 일명:짚신나물 ) ![]() ▶ 항암작용이 강한 약초로 야산이나 들판에 흔히 자랍니다. ▶ 선학초 추출물은 암세포를 파괴 하거나 굳어지게 하여 증식을 막아줍니다 . ▶ 여러 출혈 증상에도 지혈제로 좋습니다 . | |
![]() |
4. 초석잠 ![]() | |||||||||||||||||||||||||||||||||||||||||||||||||||||||||||
1.초석잠은 ▶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 중국에서는 '감로자, 적로, 감로아, 보답채' 등으로 부르고, 일본에서는 장노회로 부르며 이 말은 '늙어져도 기쁘다' 는 뜻으로, 즉 치매를 예방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 |||||||||||||||||||||||||||||||||||||||||||||||||||||||||||
2. 초석잠의 영양성분포(100g 중)
※ 도산식품 영양성분표 참조 | |||||||||||||||||||||||||||||||||||||||||||||||||||||||||||
초석잠의 올리고당 함량 분석표
※ 농촌진흥청 제공. 단위:% ▶ 주성분:당질, 스타키오스, 페니르에타노이드, 올리고당 ▶ 기타성분:스타기드린, 스타기오스, 아르긴산, 콜린 및 비타민 B4가 있다. ● 올리고당은 우엉이나 대두보다 많아 장의 유익균을 늘려 장속을 깨끗하게해 변통이 좋아지며 변비, 감기에 걸러 식욕부진에 효험 있다. ● 딴 식물에서는 거의 볼 수 없는 초석잠 특유의 성분 체닐에타노이드 배당체라는 성분이 뇌경색 예방과 그 휴유증의 개선에 효과가 있고 노인성 치매를 방지하는 효과도 기대되는 것으로 임상 실험으로 밝히고 있다. ▶ 콜린은 비타민 B군에 속하는 놀라운 생화학 작용을 하는 물질이다. ● 간장에 지방이 지나치게 쌓이지 않게 하며 동맥경화 예방 즉 콜레스테롤이 동맥이나 담낭에 축척되지 않게 유화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 콜린은 혈액과 뇌장벽을 뚫고 들어갈 수 있는 희귀 물질의 하나다. ● 뇌세포에 직접 작용해서 기억을 돕는 생화학 물질을 만들어 내며 신경을 자극하는 신호를 보내는 작용도 한다. 특히 기억을 희생시키기 위해 뇌 속에서 생기는 신호에 작용 한다. 그래서 기억력이 쇠퇴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 간장의 기능을 촉진함으로서 인체의 조직에 쌓인 독소나 약물을 배제하는 작용이 있어 간경화나 지방간의 형성을 막는다. ▶ 콜린은 신경의 진정을 돕는 작용도 한다. ● 노인성치매 즉 알츠하이머 병의 예방에 도움이 된다. ※장기능을 정상화 함으로 장청 즉 뇌청이 좋아 진다. | |||||||||||||||||||||||||||||||||||||||||||||||||||||||||||
3.일반적 이용방법 ▶ 뿌리 자체는 담백한 맛으로 육질을 씹어 보면 단맛이 있다. ▶ 생뿌리 활용법 ● 식초 간장 설탕 된장 등을 이용한 절임류와 건조 초석잠을 이용한 차류 및 요리첨가제 이용 ● 초석잠 생 뿌리는 찜통 등으로 살짝쪄서 충분히 말려 냉장고 등에 넣어 보관 한다 ● 생 뿌리을 달일 때는 10-15g정도/1회용 약한 불로 달여 국물을 마신다 ● 생 뿌리를 그대로 술에 담구어 건강주 ▶말린 뿌리를 고운 분말로 이용 ● 물이나 음료수 또는 술에타서 마실 수 있고 빵이나 만두에 넣어 먹을 수도 있다 ● 차로 이용하는 경우는 잘게 썬 것을 무쇠솥에서 향내가 나도록 볶아 두고 매일 3-5g씩 달여 마신다 ▶장복하면 두뇌 건강 뿐만 아니라 각종 풍증과 신경통 등에 좋다 ▶삼백초와 배합하면 뇌력 증진에 좋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