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자료/참고자료

아 젠 다 [アジェンダ] [agenda]

bthong 2007. 6. 23. 18:00

 

아 젠 다 [  ?

    

1 행동[실시] 계획.   2 의사()일정. 의제.   모여서 서로 의논할 사항이나 주제.
 

1.사회복지정책 아젠다 형성의 의미와 성격

사회복지문제가 정책문제로 제기됨으써 이슈화되는 경우가 아젠다의 형성과정이다.

 

아젠다의 개념 및 종류

 

(1)아젠다의 개념
아젠다란 학자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정의되지만, 일반적으로는 어떤 문제나 이슈가 공공의 관심을 끎으로써, 공공정책의 형성에 위하여 논의될 수 있는 상태에 놓일 때 그 문제나 이슈가 아젠다에 위치한다고 이야기 된다.

따라서 아젠다란 공공정책으로 전환되기 위하여 정책 결정자들의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논의 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문제나 이슈, 곧 의제들의 목록을 의미한다.

 

(2)아젠다의 종류

ㄱ.아젠다의 임자에 따른 분류1: 아젠다의 임자가 누구냐에 따라 사적 아젠다와 공적아젠다로 분류 할 수 있다. 곧, 개인의 관심을 가지고 있는 문제나 이슈는 사적 아젠다에 속하지만, 그것이 공공의 관심을 끌거나 정부의 권위 있는 의사결정자의 관심을 끌게 되면 공적 아젠다에 속하게 된다.

ㄴ.아젠다의 임자에 따른 분류2: 공적 아젠다가 어디에 귀속되어 있는 가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눔에 따라 아젠다는 대통령아젠다, 의회아젠다, 법원아젠다, 선거아젠다, 언론아젠다, 정당아젠다, 이익단체아젠다, 내무부아젠다, 군청아젠다 따위로 분류할 수 있다.
이 뷴류 방법은 공공정책상의 논의를 개시하는 정책꾼들이 누구냐에 따른 분류 방법인데, 각각의 아젠다 특성을 밝혀주는 데 유용하게 쓰인다.


ㄷ.콥과 엘더의 분류: 콥과 엘더는 아젠다를 체제아젠다와 제도아젠다로 분류한다.
체제아젠다는 공공아젠다라고도 부르며 공공의 관심을 끌 가치가 있고 현재의 정부 당국의 합법적으로 다룰 수 있는 문제라고 정치적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공통적으로 인지하고 있는 모든 이슈들로 구성 된다.

 

1)체제아젠다-->공공아젠다라고도 부르며 "공공의 관심을 끌 가치가 있고 현재의 정부 당국이 합법적으로 다룰 수 있는 문제라고 정치적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공통적으로 인지하고 있는 모든 이슈들"로 구성된다

2)제도아젠다-->정부아젠다 또는 공식아젠다로 부르기도 하는데 "권위 있는 의사결정자가 뚜렷이 적극적이고도 진지한 관심을 기울이는 이슈들의 모임"으로 정의된다

정책결정자들은 체제아젠다와 제도아젠다 형성에 관여하지만 이 두 아젠다의 성격은 전혀 다르다. 체제아젠다는 비교적 추상적이며 일반적인 아젠다 항목으로 구성되며 문제 영역을 확인하는 정도에 불과한 것이지 결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나 가능한 대안을 제시할 필요는 없다
제도 아젠다는 훨씬 구체적이고 특수한 의제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아젠다는 의사결정자들이 신중하게 고려하여야 할 문제들을 적어도 명백하게 여러 측면에서 찾아 내고 규정한 아젠다이다.

 

ㄹ.아이스톤의 분류: 아이스톤은 아젠다를 공공아젠다(public agenda), 공무아젠다(offical agenda) 및 운영아젠다(operational agenda) 따위로 분류한다.


1).공공아젠다-->사회 내 개개인의 개별적인 아젠다의 집합체로 정의되며 문제를 단순화시켜 준다는 특색이 있고 여론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2).공무아젠다-->"정책결정이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아젠다 항목으로 구성되며 따라서 언제 그러한 이슈들이 공무아젠다에 놓였는지 이야기 하기 어렵다
3). 운영아젠다-->"건설적인 관심"으,ㄹ 받는 이슈들로 이루어지며 법원의 의사일정표나 입법부의 상정된 법안, 제출된 보고서, 청문회 따위가 여기에 속하는 예다.

 

ㅁ. 킹톤의 분류: 킹돈(Kingdon)은 정부의 관리들이 신중하게 관심을 기울이는 주제의 목록을 정부 아젠다(governmental agenda)라고 정의 내리면서, 정부아젠다 가운데 실제적인 결정을 위하여 놓인 주제들이 목록을 결정아젠다(decision agenda)라고 명명하며 이 둘 사이의 구별이 분명해야한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정부아젠다와 결정아젠다는 서로 다른 과정에 의하여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ㅂ.아젠다 항목의 관심 범위에 따른 분류: 아젠다 항목인 의제가 전국민적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것인지, 아니면 일정 계층이나 지역에 국한된 것인지에 따라 국민적 아젠다 또는 국가적 아젠다, 지역 또는 지방 적 아젠다(regional or community agenda)로 분류할 수도 있다

 

 

 

 

어젠다 [agenda] [명사]모여서 서로 의논할 사항이나 주제.

 

로드 맵(Road map)   통상 어떤 일의 기준과 목표를 만들어 놓은 것을 표현한다.

 

'참고자료 > 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러다임 paradigm  (0) 2008.03.25
헤게모니 (hegemony)  (0) 2008.03.25
실루엣[silhouette]  (0) 2007.07.02
콜린스 영어사전, 새 단어 wag  (0) 2007.06.06
페로몬 호르몬 (pheromon hormone) 이란?  (0) 2006.10.19